기업개요
- 국내 1위 인터넷 검색 포털 NAVER를 기반으로 서치플랫폼(검색 및 디스플레이 광고), 커머스(스마트스토어, 브랜드스토어 등), 핀테크(네이버페이) 등의 사업을 영위.
- 또한 웹툰, 제페토, V LIVE, 스노우 등의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신사업으로 기업용 솔루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분야에도 진출하였음.
- 2021년 5월 북미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하였으며, V LIVE와 하이브의 위버스 통합 플랫폼을 론칭, 플랫폼 강화를 통한 글로벌 인지도 향상 기대.
네이버 주가 상승
네이버의 강력한 주가 상승
네이버의 주가가 계속해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네이버의 강한 주가 상승에 한몫 하는 하이퍼클로바X
네이버는 향후 플래그십이자 신수종 사업으로서 자사의 명운을 건 한국형 거대언어모델(LLM)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다.
네이버는 오픈AI의 챗GPT가 불러온 전 세계적 생성형 AI 열풍에 맞서 하이퍼클로바X를 자사의 미래를 책임질 비즈니스 모델로 선정하고 한국적인 LLM 개발에 힘써왔다.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가 2021년 공개한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한국어에 최적화한 LLM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24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팀 네이버 콘퍼런스 단 23'에서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며 "생성형 AI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그는 기조연설에서 하이퍼클로바X 개발을 위해 영업수익의 22%를 연구개발(R&D)에 꾸준히 투자했으며, 이를 토대로 기술을 고도화하고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소개했다.
자체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도 한몫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네이버가 "다양한 AI 기반의 추천 기술을 검색을 포함해 쇼핑, 예약, 리뷰, UGC(사용자 제작 콘텐츠), 지도, 동영상 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하며 기술을 고도화하고 사용성을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그는 "생성형 AI와 이에 기반을 둔 다양한 기술 프로덕트들의 중심에는 사용자, 판매자, 창작자의 경쟁력 향상에 있다"며 "네이버의 경쟁력은 다양한 서비스와 파트너들이 서로 연결되어 성장을 이끌고, 이는 다시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위닝루프' 구조에 있다. '하이퍼클로바X'는 이러한 위닝루프를 더욱 가속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기업실적
- 기업들의 디지털 광고집행 확대와 함께 서치플랫폼 및 커머스 부문이 성장한 가운데 네이버페이 거래액 증가, 웹툰의 양호한 성장으로 전년대비 매출 신장.
- 지급수수료 증가 등에 따른 영업비용 부담 확대로 전년대비 영업이익률 하락, 금융자산 관련 금융수지 저하 및 지분법이익 감소, 대규모 중단영업이익 제거 등으로 순이익률 크게 하락.
- 국내외 경기 둔화로 광고, 커머스 부문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나 북미 최대 중고 패션 플랫폼인 포쉬마크 인수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투자자별 매매동향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5월 물가 4.3%로 둔화 (0) | 2023.06.14 |
---|---|
에코프로 주가 하락 이유(+불공정거래 의혹 압수수색) (0) | 2023.03.20 |
농심 주가 전망 - 올해 최대 영업익 달성 (0) | 2023.03.17 |
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급등 이유(삼성전자 지분 추가 확보) (0) | 2023.03.16 |
엠로 주가 - 삼성SDS 최대주주 등극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