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e-서울문화관광_2019 문제 답안 정답

by cuwea 2024. 5. 2.
반응형

e-서울문화관광_2019 문제

다음 중 성공적인 도시브랜드 개발 전략과 거리가 먼 것은?

1) 단기적 시각에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브랜드를 변경하여 적용

2) 뚜렷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추진하여 도시브랜드 개발의 명확한 목표 설정

3)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도시브랜드 관리전략

4) 지역민의 노력과 시정부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

 

 

글로벌 경쟁력 있는 도시들의 지표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역사문화 전통성

2) 물리적 자본

3) 재정 성숙도

4) 경제적인 힘

 

 

다음 중 제도문화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종교

2) 규범

3) 관습

4) 법

 

 

글로벌 경쟁력 도시에 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삶의 질이 좋은 도시로 평가 받고 있다.

2) 아시아 국가 도시로서 싱가포르, 도쿄, 홍콩 등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도시이다.

3) 경쟁력 있는 도시들은 대부분 역사문화의 전통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다.

4) 모두 부정적 이미지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모하여 경쟁력 있는 도시로 성장하였다.

 

 

다음 중 성공적인 도시브랜드 개발 전략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역민의 노력과 시정부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

2) 지역민의 노력과 시정부의 부단한 노력의 결과

3)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도시브랜드 관리전략

4) 단기적 시각에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브랜드를 변경하여 적용

 

 

다음 서울시 관광정책 관련 내용 중 옳지 않는 것은?

1) 서울을 세계 3위 의료관광도시로 만들기 위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2) 서울시는 2014년 관광 및 MICE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발표하였다.

3) 2016년을 서울관광 혁신의 원년으로 발표하여 질적 수준 향상을 꾀하고 있다.

4) 서울관광 정책에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예전보다 많아졌다.

 

 

도시마케팅의 원인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도시의 경제적 침체, 범죄의 증가 및 사회안전망 필요성과 도시전체의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도시마케팅을 시작

2) 보다 획기적인 도시경제 활성화를 추구하려고 시작

3)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추진에 의해서 시작

4) 외부의 투자자본에 의해서 적극적으로 도시가 개선되고 도시마케팅을 전개

 

 

자동차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모형으로 변화 가능한 제품들에 대한 시장세분화 전략으로 타당한 것은?

1) 비차별적 마케팅 전략

2) 차별적 마케팅 전략

3) 집중적 마케팅 전략

4) 시장침투 전략

 

 

자동차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모형으로 변화 가능한 제품들에 대한 시장세분화 전략으로 타당한 것은?

1) 비차별적 마케팅 전략

2) 차별적 마케팅 전략

3) 집중적 마케팅 전략

4) 시장침투 전략

 

도시브랜드마케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지역주민

2) 기업

3) 투자자

4) 행정가 

 

다음 중 전시회의 주요 핵심 이해관계자가 아닌 것은?

1) 참가업체

2) 지자체 담당자

3) 주최자

4) 참가업체

 

 

다음 중 도시경쟁력 발전 초기단계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아젠다가 아닌 것은?

1)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2) 미래의 도시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3) 도시의 공간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요소는 무엇인가?

4) 무엇이 도시경쟁력을 결정하는가?

 

 

도시권역의 문화개발에 따른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환경에 적합한 개발로 지역민의 삶이 개선된다

2)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3) 획기적인 국내외 관광객들의 방문으로 인하여 지역경제가 급속도로 상승한다.

4)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사회의 유명인을 연결시켜 포지셔닝을 실행하는 유형으로 맞는 것은?

1) 제품사용자에 의한 포지셔닝

2) 경쟁제품에 의한 포지셔닝

3) 이미지에 의한 포지셔닝

4) 재포니셔닝

 

e-서울문화관광_2019 정답

 

다음 중 MICE에 해당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Meetings

2) Incentives

3) Conventions

4) Event

 

 

다음 중, 문화적 국수주의라고도 말하며, 자기문화우월 관점에서 문화를 말하고 상대방의 문화를 업신여기는 태도는?

1) 반문화 상대주의 태도

2) 자문화 중심주의 태도

3) 문화의 상대주의 태도

4) 문화의 사대주의 태도

 

 

도시브랜드마케팅의 시장세분화의 변수 중 사이코 그래픽 변수는 어느 것입니까?

1) 인구밀도

2) 사회적 계층

3) 레크리에이션 활동 범위

4) 라이프스타일

 

 

다음 4개의 시중 글로벌 도시경쟁력이 랭킹(ranking)이 가장 낮은 시(city)는?

1) 파리

2) 뉴욕

3) 런던

4) 싱가포르

 

 

다음 중 공유경제의 개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공유경제는 기존 비즈니스 모델들과의 충돌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어 축소되었다.

2) 공유경제 개념은 온라인 기반 플랫폼을 토대로 발전하였다.

3) 최근 서울은 공유도시(Sharing City) 서울을 발표하여 도시문제 해결을 꾀하고자 한다.

4) 공유경제는 물건의 소유가 아니라 대여해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이다.

 

 

다음 중 융복합관광상품이 아닌 것은?

1) 한류관광(관광 엔터테인먼트)

2) 도시관광(관광 서비스)

3) 농촌관광(관광 농업)

4) 의료관광(관광 의료)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경쟁력이 높으면 관광경쟁력도 반드시 높다.

2) 문화관광자원은 관광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3) 높은 관광경쟁력은 도시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4) 관광경쟁력이 도시경쟁력보다 낮을 수 있다.

 

 

다음 중 서울브랜드 개발 전략 방향이 아닌 것은?

1) 도시명 중심 열린 문장

2) 개방형 디자인

3) 가변형 디자인

4) 전문가 주도형 브랜딩

 

 

다음 중 문화재의 적극적인 활용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경복궁 야간 관람

2) 경복궁 가이드투어

3) 경복궁 소주방에서의 궁중음식 특강

4) 경복궁 경회루에서의 국제회의 개최

 

 

관광의 개념과 정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즐거움과 소비활동을 추구한다

2) 일정기간 내 돌아올 목적으로 여행을 한다.

3) 일상생활을 떠나 다른 지역에서 일하면서 그 지역에서 관광소비활동을 한다.

4) 타 지역의 문화 및 문물을 학습하고 견문을 넓힌다.

 

 

도시브랜드 시장세분화의 필요성으로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

1) 급속한 IT의 발전과 기업 제품, 기술이 향상되어 이를 이해시키기 위한 지식전달 전략이 크게 달라졌기 때문이다.

2) 도시들의 전략적 제휴 및 협력의 성과가 중요해짐에 따라 기업간에 상호 약탈적 경쟁에서 상호?협력적 혹은 공생적, 민주적 경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3) 도시의 균형적인 발전과 도시문화관광상품 시장을 개척해야 하기 때문이다.

4) 소비자들이 어떠한 소비자들이며 어떠한 형태로 집단화시키는지 요인을 파악해야 하며 이들 중 소비자들과 이들이 가진 특정한 요구(Needs)와 필요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 중 세계 관광객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세계 관광지가 아시아 신흥경제국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

2) 국내 관광시장에서 일본은 2000년 46%, 시장점유율에서 2014년 16%로 감속함

3) 우리나라는 세계 인바운드 주요 순위에서 30위권 수준에 머물고 있음

4) 중국 관광객은 2013년부터 최대 방한시장으로 등극하였음

반응형